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소년에게 추천하고 싶은 영화 [1987] (줄거리, 시대배경, 배울점)

by vesh 2025. 1. 13.

 

 

1987영화 포스터

 

 

 

 

 

영화 1987은 1987년도에 발생한 대한민국의 민주화운동을 다룬 실화 기반 영화입니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6월 민주항쟁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다루어지고 당시의 억압적인 분위기와 시민들의 용기 있는

행동을 생생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청소년들이 이 영화를 통해 민주주의의 소중함과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싸운 시민들의 희생을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줄거리, 시대적 배경, 교훈을 상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영화 1987 줄거리

 

영화 1987은 1987년 1월에 발생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중심으로 시작됩니다. 서울대 학생인 박종철은

민주화운동에 참여한 혐의로 경찰에게 체포되어 남영동 대공분실로 끌려갑니다.

그곳에서 경찰의 강압적인 고문을 받다가 사망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경찰은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

는 황당한 거짓된 해명을 합니다.

 

하지만 사건을 맡았던 최환 검사(하정우)는 사건을 덮으려 하는 경찰과 정부의 압박에도 진실을 밝히기 위해

고군분투합니다. 언론과 일부 시민들의 양심 고백이 이어지면서 점차 사건의 진실이 밝혀지기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교도관 한병용(유해진)은 박종철의 죽음과 정부의 은폐를 목격하고 갈등에 빠집니다.

한병용의 조카 연희(김태리)는 평범한 대학생이었지만 삼촌의 얘기를 듣고 민주화운동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영화의 후반부에서는 6월 민주항쟁의 핵심 사건인 이한열 열사의 사망 사건이 그려집니다.

이한열 열사는 최루탄에 맞아 사망하였고 그의 죽음은 전국적으로 대중의 분노를 폭발시켰습니다.

국민들은 거리로 나와 군부 독재에 항거하며 민주화를 요구했습니다.

결국 정권은 항복하고 직선제 개헌을 받아들였습니다.

 

이 영화는 단순한 고문치사 사건의 재현을 넘어서 그 사건이 어떻게 전국적인 민주화운동으로 이어졌는지

보여줍니다. 여러 인물들의 시선을 통해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강조하며  한 개인의 용기 있는 행동이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2. 시대적 배경: 1987년 대한민국

 

1987년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해로 기록됩니다. 당시 대한민국은 전두환 

군사정권의 독재 하에 있었고 표현의 자유와 인권이 심각하게 억압당하고 있었습니다.

 

군사정권은 국민들의 정치적 자유를 억압하고 언론을 통제하고 고문과 폭력으로 반정부 인사를

탄압하는 방식으로 권력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국민들의 분노를 폭발시키는 계기가 됐습니다.

 

사건 발생 직후 정부는 진실을 은폐하려 했고 경찰은 단순 질식사라고 발표하며 사건을 축소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진실을 밝히기 위한 검사와 언론의 노력이 이어지며 박종철의 죽음은 고문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 사건은 19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이어집니다. 6월 민주항쟁은 대한민국 전역에서 수백만명의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군부독재에 항거하고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했던 대규모 민주화 운동입니다.

 

6월 항쟁의 결정적 계기는 6월 9일, 연세대학교 앞에서 발생한 이한열 열사의 사망 사건입니다.

경찰의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이한열의 사진이 언론에 보도되며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결국 6월 29일 전두환 정권은 국민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대통령 직선제를 포함한 6.29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이룬 큰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3. 배울 수 있는 점

 

영화 1987은 청소년에게 중요한 역사적으로 배울 수 있게 해 줍니다.

 

1. 민주주의의 소중함

 

영화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과 노력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청소년들은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지금의 사회가 결코 당연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배울 수 있습니다.

 

2. 진실과 정의를 지키는 용기

 

최환 검사, 한병용 교도관, 언론인 등은 권력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진실을 밝히기 위해 싸웁니다.

이러한 행동은 사회 정의를 지키는 데 개인의 용기가 모이면 얼마나 대단한 힘이 되는지를 배울 수 있습니다.

 

3. 시민 참여의 중요성

 

6월 민주항쟁은 특정 지도자 한 명이 아닌 평범한 시민들이 주도한 운동입니다. 청소년들은 

이 영화를 통해 시민의 힘과 연대가 얼마나 중요하지 배울 수 있습니다.

 

4. 과거를 통해 현재를 배우는 중요성

 

영화 1987은 과거의 아픈 역사를 재조명함으로써 현재의 민주주의를 더욱 소중히 여길 수 있게 합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은 역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앞으로의 사회 변화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세를 배울 수 있습니다.

 

 

 


 

마무리

 

영화 1987은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민주화운동을 다룬 작품으로 청소년분들이 꼭 봐야 할 역사

영화 중 하나입니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6월 민주항쟁을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의

소중함을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영화를 통해 과거의 희생을 되새기고 현재의 자유와 권기를

더욱 소중히 여기게 될 것입니다.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이 영화를 보고 그 의미를 함께 토론해 보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